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칼슘 많은 음식 영양제 하루 권장량 주의사항

by 정보공유알림 2022. 12. 18.
반응형

칼슘 영어

칼슘 영어로는 Calcium 어원은 라틴어로 석회를 뜻 한다. 기율표에서 칼슘 기호는 ca 다.

칼슘은 주기율표 2족에 속하는 알칼리 토금속 원소이다. 반응성이 커서 자연계에 순수하게 존재하지 않고 탄산염 또는 황산염 등의 화합물로 분포한다. 특히 인체에는 필수적인 무기염류로 인산과 결합하여 뼈나 이에 함유되어 있고 각종 생리작용에 참여한다.

인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칼슘


칼슘 효능

칼슘은 인체에서도 뼈나 치아의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의 몸에는 약 1kg 존재한다. 뼈 속에 결정질 수화인산칼슘, 즉 수산화인회석(Ca10(PO4)6(OH)2, Hydroxy Apatite; HA)형태로 존재한다.

이 물질은 원래부터 체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생체친화성도 높고, 인공적으로 합성해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인공뼈나 틀니 등 보철 재료 등에 사용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보통 칼슘이 뼈에만 중요하다고 오해하는데, 사실 칼슘은 신체 이곳저곳 안 쓰이는 곳이 없다.  발생, 근육 수축부터 각종 생체 내 신호전달까지 수많은 생리현상에 관여한다. 칼슘 때문에 암이 생길 수도 있고 부족할 경우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된다고도 한다. 

칼슘 이온(Ca2+)은 생체 내에서 상당히 중요한 이차 신호 전달자(secondary messenger) 역할을 한다. 가령, 근육의 수축 시 칼슘 이온이 유출되며 수축 경로를 증폭시킨다.

칼슘 이온의 또다른 용도는 혈액응고(blood coagulation)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칼슘은 아예 혈액응고인자의 일종인

 '응고인자 4'로 명명되어 있고, 혈소판의 델타 과립 안에 보관되어 있다. 

내피세포 밑에 부착된 혈소판 표면 인지질은 칼슘과 결합하여 응고인자 복합체 형성 과정을 개시할 준비를 하게 된다.


칼슘 하루 권장량

성인의 일일 칼슘 권장 섭취량은 6~700mg이다.
칼슘이 풍부한 대표적인 음식은 우유, 치즈, 요거트 등의 유제품과 멸치, 꽁치, 정어리, 뱅어포, 미꾸라지, 말린 새우 등 뼈째로 먹을 수 있는 생선이며, 두유, 두부, 비지 등의 콩류,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깻잎, 브로콜리, 케일, 상추 등의 녹황색 채소류도 칼슘 함유량이 높은 편이다.

 

한국인의 섭취 경로는 20대까지는 주로 우유, 30대 이상부터는 멸치가 주 섭취원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는 멸치 잘 안먹는데,,, 대신 첨부 사진처럼 칼슘비타민을 섭취해주고 있다

그러나 무턱대고 칼슘만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기존에는 우유나 치즈와 같은 유제품이 칼슘을 흡수하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알려졌고 대중의 인식도 여전히 그렇지만 그동안의 많은 연구로 인해 실상은 이와 많이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버드 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동물성 단백질에 들어있는 함황 아미노산은 체내의 골밀도를 낮출 수 있는 황산염을 생성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또한 유제품에 들어있는 레티놀 성분은 칼슘의 흡수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 D의 흡수를 억제한다. 그리고 녹황색 채소류의 경우 역시 안에 있는 옥살산염(수산염)이 칼슘의 흡수를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필자는 하루에 2알 운동 끝난후 섭취를 해주고 있다.

운동 후 저녁에 섭취해주는것이 편해서 그렇게 섭취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